`정보취약계층 정보격차 實態조사` 결과 分析(분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4 14:17
본문
Download : 0210.gif
세계 초일류 IT강국을 지향하는 우리나라로서는 IT인프라 구축의 한 면으로서 정보소외계층의 정보화 수준 제고는 무엇보다 시급한 일이다.
`정보취약계층 정보격차 실태조사` 결과 분석
다. 선진국은 부의 재분배를 통해 경제력을 상실한 소외계층을 일반국민과 동등한 지위로 설 수 있게 한다. 정보화에 뒤처진 계층을 보듬어 IT인력화하는 것이 IT선진국의 첫번째 조건이다. 그러나 이러한 수치는 과거와 비교일 뿐이다. 50대 이상 고령층 거주 가구는 45.6%로 전체가구 누리망 접속률보다 23.3%포인트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government 의 노인정보화 지원사업 대상 연령층인 55세 이상 연령층(만55∼74세)의 컴퓨터 이용률은 7.9%, 법정 노인 연령층인 65세 이상 연령층(만65∼74세)의 컴퓨터 이용률은 5.7%로 나타나 연령대에 따른 급격한 이용률 저하가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을 가늠하는 척도로서 장애인 및 노인에 대한 사회복지를 기준으로 한다.
누리망 이용에서도 예외는 아닐것이다. . 장애인 거주 가구의 누리망 접속률은 46.6%로 우리나라 전체가구 누리망 접속률 68.9%보다 22.3%포인트 낮았다.
순서
특히 교육의 경우 정보화교육 수강 경험률은 장애인과 노인 모두 10%대 안팎에서 머물러 극히 제한적인 부류만 교육을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정보취약계층에 대한 government 의 정보화 지원사업 필요성에 대해 조사대상자의 과반수 이상이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돼 향후 적극적인 지원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50대 이상 고령층의 이용률은 9.1%로 국민전체 이용률보다 48.9%포인트 낮으며 55세 이상 연령층은 5.6%, 65세 이상은 2.9%로 컴퓨터 이용률과 마찬가지로 연령대에 따른 급격한 이용률 저하가 나타났다. IT선진국 역시 마찬가지다.
◇정보소외계층의 정보화 아직도 ‘먼 산’=지난 2년여간 국내 정보소외계층의 정보화 수준은 크게 향상됐다. 그 중에서도 무료 수강비율이 대부분을 차지해 교육에 따른 경제적 지원이 가장 현실적인 지원임을 드러냈다. 정보사회에 대한 인지율은 장애인이 46.1%, 고령층 37.1%로 전체 국민 정보화 인지율 77.0%보다 각각 30.9%, 39.9%포인트 낮게 나타났다. 이용률 면에서도 장애인의 경우 22.4%로 국민전체 누리망 이용률 58.0%보다 35.6%포인트나 낮게 나타났다. 또 장애인의 컴퓨터 이용률은 24.1%로 국민 전체 컴퓨터 이용률 63.0%보다 38.9%포인트 낮은 상태다.
`정보취약계층 정보격차 실태조사` 결과 분석
Download : 0210.gif( 60 )
설명
<이경우기자 kwlee@etnews.co.kr>
이번 ‘2002 정보취약계층 정보격차 실태조사’는 정보취약계층의 정보화 수준 및 정보격차 present condition을 파악하고 세분화된 정책개발 등 대응전술을 마련하는 단초로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사회 전체적으로 볼 때 정보소외계층의 정보화 수준은 아직도 改善의 여지가 많다. 특히 장애인의 경우 ‘장애로 인한 이용 어려움’의 비중이 21.4%로 나타나 장애인을 위한 정보통신기기 접근성 강화가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레포트 > 기타
★관련 그래프/도표 보기
그러나 정보화 진전이 장애인, 고령층의 복지·소득·사회참여 등에 긍정적인 influence(영향)을 줄것이라는 展望(전망) 에 관련되어는 장애인과 노인 층 모두 과반수 이상이 동의하는 등 정보화 진전에 대한 정보소외계층의 기대를 반영했다.
정보취약계층이 누리망 을 이용하지 못하는 이유는 사용방법을 모르거나(장애인 33.9%, 고령층 35.1%) 이용에 대한 필요성을 못 느끼는 것(장애인 29.1%, 고령층 41.3%)이 대부분이었다.
`정보취약계층 정보격차 實態조사` 결과 分析(분석)
`정보취약계층 정보격차 實態조사` 결과 分析(분석)
◇누리망 이용요금 할인, 교육 등이 현안=장애인·노인 등 정보소외계층의 problem(문제점)은 정보화에 대한 인식이 낮다는 점이다.
조사결과 장애인 거주가구와 50대 이상 고령층 거주가구의 컴퓨터 보유율은 각각 56.4%, 57.9%로 국민 전체 가구 컴퓨터 보유율 78.5%(6월 현재)보다 각각 22.1%, 20.6%포인트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50대 이상 고령층의 컴퓨터 이용률도 11.4%로 국민전체 이용률 51.6%보다 크게 낮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