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 우리가 모르고 있는 북한의 사회 생활 / 우리가 모르고 있는 북한의 사회 생활 1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31 14:52
본문
Download : 우리가 모르고 있는 북한의 사회생활.hwp
원래 북한의 나라꽃은 진달래였는데 몇 년 전 전 김일성 주석의 교시로 손쉽게 씨로 번식시킬 수 있는 characteristic(특성)을 지닌 목란이 나라꽃으로 정해졌다고 한다. . 북한 돈 1원은 남한 돈으로 얼마일까 (현재 약간 달라졌을 수 있으니 대개 이 정도라고만 보면 됨) 북한 근로자들의 월mean or average(평균) 소득은 북한 돈으로 100원 정도라고 한다. 목란은 남한에서 목련의 다른 이름으로 불리기도 하지만 북한에서는 ‘함박꽃’을 말한다. 그 다음으로 기술자, 사무원, 교육자, 군인, 체육인 순이었는데 최근에는 물품 구입이 손쉬운 경공업제품 판매원, 백화점 직원, 호텔 및 식당 요리사 등 서비스 업종이다. 남성들에게 가장 인기있는 직종은 교포나 외국 기업이 투자하는 합작회사에 근무하는 ‘무역원’이고 평양에 사는...





설명
Download : 우리가 모르고 있는 북한의 사회생활.hwp( 26 )
우리가 모르고 있는 북한의 사회생활 1. 북한의 나라꽃 북한의 나라꽃은 ...
다. . 북한의 국보 1호와 보물 1호 북한은 50여 건의 유물 유적이 국보로 지정되어 있고 53 건의 보물과 73 건의 사적, 18 건의 명승지 등이 지정되어 있따 국보 1호는 평양시에 있는 ‘대동문’으로 고구려시대 평양성의 내성의 동문으로 건립되었고 보물 1호는 대동문 근처에 있는 ‘평양종’이다.순서
[인문사회] 우리가 모르고 있는 북한의 사회 생활 / 우리가 모르고 있는 북한의 사회 생활 1
인문사회 우리가 모르고 있는 북한의 사회 생활 / 우리가 모르고 있는 북한의 사회 생활 1
우리가 모르고 있는 북한의 사회생활 1. 북한의 나라꽃 북한의 나라꽃은 ...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우리가 모르고 있는 북한의 사회생활 . 북한의 나라꽃 북한의 나라꽃은 ‘목란’이다. . 가장 인기 있는 직업은 80년대 초만 해도 인기직종 1위는 당정요원이었다. 주택비와 교육비가 소득의 2∼3%정도밖에 차지하지 않는 등 생활필수품 가격이 싸다. 1달러를 남한 돈 800원으로 보면 북한 돈 1원은 남한 돈으로 367원이 된다 그러면 북한 근로자 mean or average(평균) 임금은 남한 돈으로 4만원 정도가 되는데 이 돈으로 어떻게 살아갈까 북한에서는 쌀 1㎏의 formula(공식) 가격이 8전, 비누·치약이 각각 1원, 쇠고기 1근이 4원이고 부족하지만 식량과 의복을 배급받는다. 그러나 자전거는 160원, 라디오는 250원, 텔레비전은 350원이나 될 정도로 고급소비재가 비싸다. 달러와의 교환비율로 돈의 가치를 비교해 보면 1992년 돈 1달러는 북한 돈 2원 18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