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소송법상 소의 변경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8 01:49
본문
Download : 소의변경.hwp
행정소송법이 소의 종류 자체의 변경을 인정한 것은 본의 아니게 행정소송의 종류의 선택을 그르친 경우 소의 종류의 변경을 인정하여 행정구제의 기능을 실효화하기 위함이다.
2 소 종류 변경의 형태
1) 취소소송을 무효등확인소송?부작위위법확인소송?당사자소송으로 변경할 수 있다아
2) 무효등확인소송을 취소소송?부작위위법확인소송?당사자소송으로 변경할 수 있다아
3) 부작위위법확인소송을 취소소송?무효등확인소송?당사자소송으로 변경할 수 있다아
4) 당사자소송을 취소소송?무효등확인소송?부작위위법확인소송으로 변경할 수 있다아
3 요건
1) 행정소송이 사실심변론종결 전일 것
취…(省略)2) 청구의 기초에 변경이 없을 것
4 절차
1) 원고의 신청
2) 피고의 意見청취
3) 법원의 허가결정
5 효율
1) 처분의 변경이 있을 것
2) 처분의 변경이 있은 것을 안 날로부터 60일 이내일 것
3) 원고의 신청에 의한 법원의 허가결정
소의 변경
다.순서
설명
Download : 소의변경.hwp( 73 )
소,변경,법학행정,레포트
레포트/법학행정
행정소송법상 소의 변경
소의 변경 , 행정소송법상 소의 변경법학행정레포트 , 소 변경
- make preview 를 참고 바랍니다.


■ 행정소송에서의 소의 변경
Ⅰ 서설
소의 변경이란 소송의 계속 후에 원고가 심판의 대상인 청구를 변경하는 것을 말한다.Ⅱ 소의 종류의 변경
1 의의소의 종류의 변경이란 원고가 당해 소송의 사실심변론종결시까지 청구의 기초에 변경이 없는 한 법원의 허가를 받아 소의 종류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행정소송법은 소의 변경에 관하여 소의 종류변경과 처분변경으로 인한 소의 변경의 두 가지를 인정하고 있다아 행정소송법에서의 소의 변경은 민사소송법에서 인정되지 않는 피고의 변경을 가져올 수 있다는 점에서 민사소송에 특례를 인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