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 우리말의 뿌리를 찾아서 어원 조사 / 우리말의 뿌리를 찾아서 어원 조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2 05:48
본문
Download : 우리말의 뿌리를 찾아서 - 어원조사.hwp
신라인들은 이처럼 한자를 우리음으로 읽는 것을 `향음(鄕音)`이라고 표현했는데 이것은 `우리노래`를 `향가(鄕歌)`라하고,`우리음악`을 `향악(鄕樂)`이라 표현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그러나 신라멸망이후로 우리나라에서는 이러한 우리말 고유지명과 인명들이 대대적으로 한자음에 의해 축출당하고 `향음(鄕音)`자체가 완전히 소멸되어버리는 미증유의 사태가 발생하였다. (고려 초기는 새로운 민족통합의 시기였고 그것은 곧 새로운 언어통합의 시기를 의미하며 그 과정에서 전국 공통어의 존재로서 한자음(중국음)이 득세한 것이라 볼 수 있을 것이다) `마포`와 `노량진`의 본래이름은 `삼개(麻浦)`와 `노들나루(鷺梁津)`였지만 어느덧 한자음 `마포`와 `노량진`에 밀려서 `삼개`와 `노들나루`는 기억의 저편으로 사라져가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고구려가 망하여 만주 땅을 잃게 된 것에 개탄하지만 정말로 민족최대의 손실은 신라가 망함...
순서
[인문사회] 우리말의 뿌리를 찾아서 어원 조사 / 우리말의 뿌리를 찾아서 어원 조사
우리말의 뿌리를 찾아서 - 어원조사 목차 ★ 들어가는 말 ★ 지역도시별...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다. 신라 경덕왕때 우리말 지명을 한자식(두글자) 지명으로 바꿨다고 하지만 그것은 문자의 표기형식만 바뀐 것이지 음이 바뀐 것은 아니다.설명
인문사회 우리말의 뿌리를 찾아서 어원 조사 / 우리말의 뿌리를 찾아서 어원 조사
Download : 우리말의 뿌리를 찾아서 - 어원조사.hwp( 12 )
우리말의 뿌리를 찾아서 - 어원조사 목차 ★ 들어가는 말 ★ 지역도시별...





우리말의 뿌리를 찾아서 - 어원조사 목차 ★ 들어가는 말 ★ 지역도시별 순우리말 ★ 서울 내 동별 순우리말 ★ 결혼에 관련한 순우리말 ★ 달별 순우리말 ★ 들어가는 말 우리나라의 지명change(변화)는 한마디로 순수한 우리말 고유지명이 한자지명화(化)해 가는 과정이다.(한자음이라는 것은 고대에 수입된 외래음, 즉 우리말 environment(환경) 에 맞게 변형되고 화석화된 중국음(隋唐音)을 의미한다) `히로시마`의 한자표기가 `廣島`라 해서 `고오도오(광도)`로 읽는 Japan인이 없는 것처럼 `하슬라(河瑟羅)`의 한자표기가 `江陵`으로 바뀌었다고 해서 `하슬라`가 하루아침에 `강릉`으로 바뀌는 것은 아니다. 우리나라의 지명은 삼국시대 이전부터도 한자로 표기되었지만 결코 한자음으로 읽지는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