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현대디자인의 文化정체성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0 17:26
본문
Download : 한국현대디자인의 문화정체성 연구.hwp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한국현대디자인의 문화정체성 연구.hwp( 99 )
김종균
서울대학교 디자인학부 논문
,인문사회,레포트
설명
한국현대디자인의 文化정체성 연구
한국현대디자인과文化정체성
순서
김종균서울대학교 디자인학부 논문한국현대디자인과문화정체성 , 한국현대디자인의 문화정체성 연구인문사회레포트 ,
1. 서론
2. 전통조형文化(culture) 의 변이
2.1. 산업화과 근대화
2.2. 근대 디자인교육
3. 한국 현대 디자인의 형성
3.1. 한국 현대 디자인의 시발점
3.2. 한국 산업디자인사의 특수성
3.3. 한국디자인의 형성
3.4. 한국현대디자인 발달
1) 60년대-산업디자인의 도입과 계몽(啓蒙)
2) 70년대 - 산업화
3) 80년대-대중文化(culture) 형성과 산업디자인 정착
∙이원화 경향-계몽적 디자인과 상업적 디자인
4) 90년대 이후 - 산업디자인 발전기
4. 文化(culture) 정체성 논의의 계보
4.1. 일제시대(1920-45년): 文化(culture) 주의와 향토색, 조선취미
4.2. 50년대 (48-61: 1,2공화국): 기념품(Souvenir), 관제홍보
4.3. 6~70년대 (61-81: 3,4공화국): 권위적 민족주의
4.4. 80년대 (81-88: 5공화국): 도안, 양식화
4.5. 90년대 이후(88-98): 기호・정신성의 재해석
4.6. 2000년 이후
4.7. 소결
5. 한국 현대文化(culture) 의 變化(변화)와 디자인의 새로운 가능성
5.1. 인류보편성과 지역특수성
5.2. 다(多)文化(culture) 주의 시대와 文化(culture) 정체성 논의방향
6. 결론 - 新조형文化(culture) 전통창조와 文化(culture) 정체성 형성
1. 서론
현대기술 발전상은 근대적 인간관과 세계관의 패러다임을 바꾸고 있다 전 지구적 자본주의화와 시장통합, 신자유주의 세계화, 네트워크화, 대량 소비성향의 文化(culture) 산업 등장 등 일련의 變化(변화)를 통하여 국가와 文化(culture) 에 대한 정체성도 변모시켜 나가고 있고, 국내적으로도 사회구성원의 變化(변화), 세대교체 등을 통하여 폐쇄된 통제 국가가 아닌 이상 기계적인 전통 보존마저도 어려운 상황에서, 민족文化(culture) 는 해체위기에 놓여졌다.
2. 전통조형文化(culture) 의 변이
유럽, 특히 스칸디나비아 반도는 공예의 전통과 현대의 디자인이 분리되지 않고, 하나의 유기적 연관성을 가지며 그 文化(culture) 적 정체성을 고스란히 간직한체 발전해 오고 있는 것에 반해, 우리 조형文化(culture) 는 영속성이 단절되고, 서구 이식으로부터 조형文化(culture) 를 형성해 나가고 있다 현대에 디자인은 제도권내의 산업속으로 편입되었고, 공예는 개인의 차원으로 귀속되었다. 또 디지털 기술의 확산으로 디자인에서의 물성은 점차 사라져가는 반면 文化(culture) 적 속성의 점점 강해져 가는 추세여서, 종래 피상적인 전통소재의 차용을 통한 정체성찾기 노력은 거의 한계에 다다랐다. 한국디자인계의 냉전시대의 文化(culture) 인식과 함께, 편미경향, 서구사대적 조형문법의 답습, 서구디자인담론에의 종속 등과 같은 구태적인 습성에서 벗어나 한국文化(culture) 정체성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가져야 할 때인 것이다. 전통적 공예기법을 전수하는 일은…(To be continued )
다.